Page 11 - 붓다동산748호
P. 11

부처님 일생 (인도국립박물관)              인도팔상불상 (용산국립박물관)

근교의 경우 남양주 흥국사가 유명하며 합천 해     라왕조 시대 인도풍의 부처님 일생을 표현하고
인사, 양산 통도사, 포항 보경사 등등 주요한 사   있다.
찰에서 부처님의 팔상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중앙에 마라를 물리치고 깨달음을
이는 조선시대 중후반기에 한국 불교계에 석가      얻는 부처님을 촉지인으로 배치하고 주변의 둘
신앙이 유행해서 부처님에게 직접 귀의하고 부      레에 부처님의 일생에서 중요한 나머지 7가지
처님을 통해서 구원을 얻으려는 욕망이 커지면      장면들을 배치하여 압축적이면서도 통일성 있게
서 한국의 사찰에 팔상도가 유행했을 것으로 보     부처님의 일생을 표현하고 있다.
고 있다.                          그런데 이 빨라시대의 팔상 불상을 자세히 살
 인도에서도 부처님의 일생을 8가지 중요한       펴보면 우리나라의 팔상도에서 볼 수 없는 장면
사건들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부조로 표현하는       들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의 팔상도에서 부처님
전통이 있었던 것 같다. 동일도 벵골지역의 경     의 탄생인 비람강생상, 부처님의 깨달음인 수하
우 특히 팔라(Pala) 왕조 시대에 이러한 경향이  항마상, 부처님의 첫설법인 녹원전법상, 부처님
강했던 것으로 보이며 전체를 하나의 불상에 표     의 마지막 열반인 쌍림열반상은 살펴볼 수 있지
현하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용산 국립    만, 마야부인의 꿈인 도솔래의상, 부처님의 성밖
박물관의 인도관에 전시되어있고 10세기경 북      여행인 사문유관상, 부처님의 출가인 유성출가
인도에서 제작된 인도팔상 불상은 전형적인 팔      상, 부처님의 고행인 설산수도상은 나타나지 않

                                                |9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