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붓다동산748호
P. 10
지상강좌 ①
부처님의 일생과 4가지 기적
황순일
동국대 교수
한국불교는 부처님의 일생에 있어서 8가지 중요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팔상성도란 개념을 확립하고 이
를 통해 불타관을 정립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팔상성도는 도솔래의상(도率來儀相), 비람강생상(毘濫降
生相),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수하항마상(樹下降魔
相), 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의 8가지로 이야기되고 있다.
이들 각각은 부처님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녹원전법상은 녹야원에서 첫 설법을 하여 불교
장면에 해당되는데, 도솔래의상은 부처님의 탄 의 가르침을 시작하는 것이고, 쌍림열반상은 두
생을 암시하는 꿈을 마야부인이 꾸고 주변의 사 나무사이에서 마지막 열반에 들어 영원히 윤회
람들과 상의하는 것이고, 비람강생상은 룸비니 하는 세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이야기 한
에서 부처님이 태어나 천상천하유아독족(天上天 다. 이러한 모습은 부처님의 첫 설법지인 인도
下唯我獨尊)을 외치는 것이 되며, 사문유관상은 바라나시 근교의 사르나트에서 5세기경에 제작
싯다르타 태자가 4번 성 밖으로 나가서 인생의 되어 인도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부처님의
4가지 실상을 보는 것이 되고, 유성출가상은 인 일생 부조에서도 유사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생의 무상함과 죽음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말 한국의 불교사찰을 방문해서 자세히 살펴보면
을 타고 출가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설산수도상 팔상도란 이름으로 부처님의 일생을 위와 같은
은 깨달음을 얻기 전 전 정각산에서 고행하는 것 8가지 사건들을 중심으로 아름답고 다채로운 벽
을 말하고, 수하항마상은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화로 표현하고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서울
마왕의 군대를 물리치고 깨달음을 얻는 것이며,
년 월호8 | 2017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