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붓다동산743호
P. 13

후불벽화(後佛壁畵)로 그려진 아미타삼존도          불벽(後佛壁) 뒷면에 그려진 수월관음벽화는
는 년작으로 흙벽에 채색 ×1476            아미타삼존 후불벽화 와 같은 시기에 그려진 것
                 . 210 270cm.  으로 보인다. 두광(頭光)과 신광(神光)을 지고 선
                               수월관음이 관음보살을 예배하는 선재동자(善財
후불벽화로 그리기 위하여 따로 세워진 벽면        童子)를 내< 아미타삼존불도 >려다 보고 있다.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제13호>에 그려졌다. 구     머리에는 아미타불이 묘사된 보관(寶冠)을 썼으
도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앞의 좌우에는 관음       며, 왼손에는 정병(淨甁)을 들고 오른손에는 버
보살과 지장보살을 배치하고 뒤쪽으로 6명의 나      들가지를 잡고 있다. 얼굴은 넓으며, 목은 굵고,
한(羅漢)을 배치하여 원근감을 표현하였으나 상      넓은 어깨가 강건함을 느끼게 한다. 주위에 물결
하로 구분하는 2단구조의 고려불화나 16세기의      을 묘사하여 바다 위에 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하
조선불화와도 다른 것이다.                 였으며, 천의(天衣) 자락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아미타불          이러한 모습이 화면 전체에 표현된 파도의 곡선
                 의 뒤에 표        과 더불어 긴장감과 생동감을 불러일으킨다. 아
                 시된 광배         쉽게 촬영금지라 핸드폰에 담고 싶은 마음은 간
                 (光背)의 모       절했지만, 훌륭한 문화재를 후대에까지 전해지
                 양은 키를         기 위해서 눈과 마음으로만 담아두었다.
                 연상케 하는         불화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귀중한 문화재들
                 것으로 15        을 스님의 설명을 들으며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세기부터 사         공부의 열기만큼 오후 햇살도 뜨거웠다. 무더
                 용되었다.         위를 잠시 식히기 위해 불교용품점에서 마신 오
                 착의법(着衣        미자 차는 꿀맛이었다.
                 法)은 고려         상큼한 오미자 향을 뒤로하고 두륜산 숙소근처
                 후기의 단아        에 있는 식당으로 이동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조
         아미타삼존도  양식(端雅樣        금 있어서 가는 길에 강진 고려청자전시판매장
                               을 들렀다. 판매장을 구경하는데 근처에 한국민
式)을 계승한 것이며, 가슴 아래까지 올라온 군     화뮤지엄이 있다고 해서 비록 관람시간은 촉박
의(裙衣)의 상단을 주름잡아 고정시킨 매듭끈을      했지만, 강진까지 오는 게 쉽지 않기 때문에 서
대좌(臺座) 좌우로 길게 드리운 것은 조선 초기     둘러서 층을1,2 둘러보았다. 민화를 같이 배우고
의 특징이다. 내용상에서도 변화가 있다. 곧 고     있는 나로서는 짧지만 귀중한 시간이었다.
려시대의 삼존형식에 자주 등장하던 대세지보살
(大勢至菩薩) 대신 지장보살이 배치된 것은 고려
후기의 신앙대상의 변화를 말해주고 있다. 화기
(畵記)에 의하면 아산현감을 지낸 강노지(姜老
至) 등 수십명의 시주로 혜련(海連) 대선사 등이
그렸다 한다.

                               | 1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