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붓다동산738호
P. 23

지상강좌 - 동산총동문회「제3차 동산포럼」강좌

원효스님의 발심수행장

                                          정각사 주동지경대정문엄학스박님사

 원효(元曉)스님은 신라시대 스님으로, 그‘원                 장과 唯識을 연구하는 법상종의 자은사 문중을 흠모하
효(元曉)’라는 법명에서 읽혀지듯이 한국 불교철                여 入唐을 꾀하다 압록강을 건넜으나 요동 땅에서 고구
학의 효시이고, 새벽이다. 보조(普照)국사 지눌                려 수비군에게 발각되어 고구려 감옥에 갇혔다가 탈출
스님은 고려시대 스님으로, 한낮인 듯 중천에 뜬                해 돌아옴.
해이고, 서산(西山)대사 휴정스님은 조선시대 스                 쪾 년 세661 (45 ) : 문무왕 원년, 의상과 함께 제2차 유
님으로, 저물어가는 저녁에 해당한다는 말이 있                 학을 시도했으나 당주계(지금의 평택, 아산 부근) 근처
을 정도이다. 원효스님은 법명의 글자 그대로 우                의 땅막과 무덤에서 생겨난 동티(東土)가 一心의 차별상
리나라 불교사상을 여신 분입니다.                        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고 유학의 무의미함을 확인 후
 원효스님의 생애와 행적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                 신라로 돌아옴. 포항의 오어사에서 머무르며 보살행을
음과 같습니다.                                  하는 혜공과 교유하면서 여러 空論에 관해 토론을 벌이
                                          며 혜공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다.
 쪾617년 세(1 ) : 진평왕 년39 , 압량군 남쪽(지금의 경      쪾 년 세667 (51 ) : 문무왕 년7 , 이 무렵 부왕인 태종 무
북 경산군) 慈仁 땅의 佛地村 북쪽 밤실의 사라수 아래            열왕의 여식인 요석공주를 만난 후 설총(薛聰)을 둠. 이
에서 태어나다. 어릴 때 이름은 서당(誓幢) 할아버지는            후 소성(小姓)居士라 하고 無碍의 보살행을 행함.
잉피공(仍皮公, 아버지는 담나내말(談捺乃末)                   쪾 년 세671 (55 ) : 문무왕 년11 , 의상대사께서 귀국하다.
 쪾 년 세625 (9 ) : 진평왕 년47 , 세10 미만의 나이에 출  불교의 인식철학의 내용을 담은『판비량론』을 저술하다.
가. 법명은 원효(元曉) 출가 후에서 낭지화상 등에게 사            쪾 년 세672 (56 ) : 문무왕 년12 , 분황사에서『십문화쟁
사할 때까지의 행적이 자세하지 않음.                      론『』법화종요『』미륵상생경종요『』무량수경종요』등을 저
 쪾 년 세647 (31 ) : 선덕여왕 元年, 이 무렵 낭지화상에게    술하다.
사사함. 첫 저술인『초장관문』『, 안신사심론』을 저술하여            쪾 년 세682 (66 ) : 신문왕 년2 , 大安법사와 교분을 갖
낭지화상에게 바치다.                               고,『금강삼매경론소』를 찬술하고, 왕실 법회에서 이 경
 쪾 년 세650 (34 ) : 선덕여왕 년4 , 의상과 함께 현장삼    을 강의하시다.
                                           쪾 년 세686 (70 ) 신문왕 년6 ,『화엄경』의 십지품까지
                                          주석서(疏)를 짖고 절필하다. 그해 음력 3월 일30 세수

                                          | 21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