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붓다동산738호
P. 18

② 존재의 번뇌(瞋) - 진정 내가 원하는 것은      어디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
   무엇인가?                          '지금의 나는 진짜의 나인가?'
                                  " '나'는 사대로 이루어진 오온덩어리 입니다.
 ③ 무명의 번뇌(癡) - 어릴 적 내가 가졌던 나     이것은 내 것이 아니고 나의 자아가 아니다 "
   의 이상은 무엇인가?                    알 것 같기도 하고, 모를 것 같기도 하고, 스님
                                 께서 이렇다고 하시니 믿어야 할 것 같고, 믿자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 그로 인한 내가 이럴     고 하니 의심이 되는 그런 아리송한 시간이었다.
것이라는 망상의 '나'와 명상수행을 통해 뒤돌아        깊은 명상과 수행을 통해서 분명해 지겠지만,
본 '나'의 모습에 많은 차이가 있었고, 이것은 나' '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님.
를 혼란스럽고, 부끄럽게 만들었다.               각각의 질문에 스스로 문답을 하다 보면 내가
 아" ~ 나는 이런 사람이었구나, 나는 이런 착각     부족하고, 한심스럽지만 스님께서 말씀 한마디
과 망상 속에서 살았구나, 앞으로는 이렇게 행동       에 치유가 되었다
하고 생각해야 겠다" 라는 의지가 생겨 났다.         "나는 사랑이다. 나의 사랑은 명료하다."
 2. 어떻게 온갖 번뇌를 사라지게 할 것이가?

 이치에 맞게 정신(마음)을 쓰면 아직 생겨나지        3. 명상 수행의 기초를 어떻게 다질 것인가?
않은 번뇌는 생기지 않으며 이미 생겨난 번뇌는         우리는 청정하게 하고 슬픔과 비탄을 뛰어넘게
사라진다.                            하고 근심과 고통을 소멸케 하고 바른 방도를 얻
 두 번째 시간에는 가치 있는 삶을 향한 의도를       게 하고 열반을 실현 시키는 하나의 길이 있다.
배양하여, 내 삶의 주인공으로서 자존감 회복과         세 번째 시간은 주의 조절 능력을 배양하여,
자아 성찰능력을 배양하는 시간.                현재의 자신 상황을 돌아 볼 수 있도록 함과 그
 ① 이것은 괴로움이다(苦) - 지금 나의 번뇌는      고통의 상황과 자신을 동일시함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함.
   무엇인가?                          ① 몸에 대한 身( ) 관찰 - 호흡, 자세, 행동을
 ② 이것은 괴로움의 생성(원인)이다(集) - 그
                                    자각한다.
   번뇌의 원인은 무엇인가?                  ② 느낌에 대한 受( ) 관찰 - 즐겁다, 괴롭다,
 ③ 이것은 괴뢰움의 소멸이다(滅) - 그 원인의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다.
   바탕 신념은 무엇인가?                   ③ 마음에 대한 心( ) 관찰 - 탐내고 성내고, 어리
 ④ 이것은 괴로움이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道)
                                    석고, 긴장하고 소심,대범,집중을 앎(자각)
   - 무엇이 날 제약하고 있는가?
 '나는 과거 현재, 미래에 있었는가? 없었는가?

년 월호16 | 2015 9.10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