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붓다동산744호
P. 16

1. 통도사는 선덕여왕 년15 (646) 대국통(大國統) 자장율사에 의하여 창건되어 당시
                  경주의 황룡사가 왕실귀족불교의 중심지였던 것에 반하여 통도사는 산중에 자리 잡

  통발도자사취의 은 수행불교(修行佛敎)의 중심도량이었다.
                  2. 통도사에 모셔진 부처님 사리와 금란가사는 자장스님이 문수보살로부터 바로 전
  해 받았다는 종교적인 신비감을 주고, 속고승전에서 당태종이 400함의 대장경과 금란가사를 하사하고 구부(九
  部)에 명을 내려 공양(供養)케 한 다음 귀국하게 하였음은 그 당시 당나라의 최고 권력자로부터 절대적인 귀의를
  받았다는 뜻이다. 따라서 통도사는 부처님의 사리와 가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법보사
  찰이라는 역사적 의의도 갖는다. 또한 금강계단을 설치하여 전국의 모든 승려들을 이곳에서 계를 받아 득도하게
  함으로써 승보와 법보 등 불교에서 가장 소중히 여기는 삼보가 이곳 통도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3. 고려시대는 왕실과 대중의 귀의를 받자 사찰이 크게 증축되었고, 원나라 사신이 고려에 올 적에는 가장 먼저
  통도사에 참배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서천국 108대조사 지공대화상(指空大和尙)이 한동안 이곳에서 무생심
  지계(無生心地戒)를 설하기도 하였다.
  4. 조선시대는 억불정책과 임진왜란에 사찰이 전소되다시피 하였지만 우운대사(友雲大師) 등의 활동으로 대부분
  의 사우(寺宇)를 중창하였고, 조선 말기의 가혹한 종이공출과 잡역에 시달렸지만 백암선사(栢巖禪師)와 권돈인
  (權敦仁)대감의 활약에 의하여 고난을 벗어나 대한제국때 전국 개16 수(首)사찰을 정할 때 경상남도의 대본산(大
  本山)이 되었다.
  5. 일제강점기에는 사형사제간인 구하대종사(九河大宗師)와 경봉대종사(鏡峰大宗師)와 같은 분들이 은사인 성해
  대종사(聖海大宗師)를 받들고, 어려움 속에도 포교와 교육에 힘을 기울였고, 이 당시 학인이었던 막내사제 경하
  스님(鏡河)께서는 불
  교발전을 위한 학생
  운동에 노력하였다.
  6. 해방이후에는 월
  하대종사(月下大宗
  師)와 벽안대종사(碧
  眼大宗師)께서 불교
  정화(佛敎淨化)를 위
  하여 노력하셨고, 특
  히 월하대종사는 종
  합수도원을 이룩하
  기 위해서 노력하여 영축총림을 만들어 그 방장에 취임하여 총림의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였고, 제9대 종정에 취
  임하여 종단의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현재는 원명지종대종사(圓明智宗大宗師)께서 방장에 취임하여 지혜와
  자비로서 사부대중(四部大衆)을 제접(提接)하고 있다.

년 월호14 | 2016 9.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