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나기무네요시의 나무아미타불 > 정보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동산반야회 동산불교대학


동산소식
정보자료실 Home > 동산소식 > 정보자료실

야나기무네요시의 나무아미타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1-03-09 10:36 조회3,942회 댓글0건

본문

1. 해제 <상>

나무아미타불은 불교의 필연적 귀결
정토신앙이야말로 가장 순수한 불교
2011.01.11 13:45 입력 발행호수 : 1080 호 / 발행일 : 2011년 1월 12일

야냐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1961) 선생은 당대 최고의 미술평론가로 그가 만년에 불후의 걸작 ‘나무아미타불’(1955년)을 집필했다는 사실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본지는 일본불교사연구소(소장 김호성)의 번역으로 ‘나무아미타불’을 매주 게재하며, 본격적인 연재에 앞서 김호성(동국대 불교대학 교수) 소장이 2회에 걸쳐 ‘나무아미타불’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편집자

 


왜 “나무아미타불”이라 염해야 하는 것일까? “나무아미타불” 염불에는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산스크리트 문법지식을 동원해서 살펴보면, “나무아미타불”은 아미타부처님께 귀의합니다라는 뜻이 된다. 하지만 그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그 말이 책 속에서 잠잘 때의 뜻일 뿐이다. 내가 “나무아미타불”이라 일컫는 순간 그 의미는 무궁무진하게 된다. 문법은 무용해지고 만다. “나무아미타불만 있으면 된다”라고 하시면서, 임종 직전 자신의 저서는 다 불태워버린 잇펜(一遍, 1239·1289. 일본의 정토신앙 종파인 時宗의 개조) 스님의 마음도 그런 것이 아니었을까.

 


실로 “나무아미타불”이라는 명호(名號) 속으로 들어가서 명호와 하나가 되고 명호 속에서 ‘내’가 죽을 수 있다면, 다시 팔만대장경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이며 천칠백 공안이 무슨 필요가 있을 것인가. 불법승 삼보와 팔만사천 법문이 이 “나무아미타불” 한 소리에 다 들어가 있는데 말이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일은 “나무아미타불”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이 낳은 필연적 귀결이라는 점이다. 흔히 간과하기 쉽지만, 실제로 그렇다. 석가모니 부처님 가르침의 기본은 무엇인가? “모든 것은 무상하다. 무상한 것은 괴롭다. 그러므로 무상하고 괴로운 것에서 ‘영원한 나’를 찾을 수 없다”는 것 아닌가. 이를 세 가지 확고한 진리[三法印]라고 말한다.


그렇다. 무상, 고, 그리고 무아의 세 가지 확고한 진리가 아니라면 아미타불은 존재할 수 없다. 무상, 고, 무아는 실로 우리 인간존재에 대한 규정이었다. 아니,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금-여기의 나’에 대한 말씀이다. 나는 무상하고, 나는 괴롭고, 나에게는 ‘영원한 나’라고 할 만한 것은 없다. 나는 존재가 아니라 비존재이고, 삶이 아니라 죽음이다.


이렇게 내가 존재가 아니라 비존재이며 삶이 아니라 죽음이라 자각할 때, 역으로 아미타불은 존재하게 된다. 비존재, 죽음, 그것이야말로 우리 삶의 진실한 모습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기본적 가르침은 우리들에게 “비존재임을 알아라”, “죽음을 자각하라”는 말에 다름 아니다. 비존재이고 죽음이 있기에 아미타불은 존재하는 것이다. “나무아미타불”이라 말할 때, 바로 그 순간 나는 비존재와 하나가 되고, 죽음과 하나가 된다. 죽음과 하나가 될 때, 내게 더 이상 죽음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것이 정토신앙에서 말하는 해탈, 즉 안심(安心)이다.

 

 따라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이 무상, 고, 그리고 무아를 말하고 있는 것이라 한다면, 그래서 죽음을 말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순수한 불교일 수 있다면, 정토신앙이야말로 가장 순수한 불교라 말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불교를 가장 순수하게 잇고 있는 대승불교가 정토신앙이라 말해서 좋으리라. “죽음을 기억하라”는 나무아미타불 안에서, 우리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불교와 아미타불의 불교가 둘 아님을 보게 된다. 그렇기에 정토신앙을 말하는 경전의 설법자는 모두 석가모니 부처님인 것이다.

 


‘무상을 느끼는 그대여/ 죽음이 다가오는 줄 아는 그대여/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법보신문에서 ---해제, 머리말, 취지 (1~8)로 설명되어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정보자료실 Home > 동산소식 > 정보자료실 목록
Total 55건 1 페이지
정보자료실 Home > 동산소식 > 정보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5 등운산 고운사 사찰 순례 인기글 관리자 02-11 344
54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 4주기 추모다례재 인기글 관리자 07-15 611
53 불기2561년 연등회 축제 인기글 관리자 07-15 591
52 제1회 동산불교대학 사진반 전시회 인기글 관리자 07-12 1388
51 내가 만난 달라이라마 -법보신문에서 인기글 관리자 06-18 3102
50 염불합시다 인기글 관리자 09-18 2341
49 [교육] 웰다잉심화교육/사찰음식캠프/노인자살예방 강사양 인기글첨부파일 김현임 09-07 2333
48 동산반야회,동산불교대학 이상우이사장 취임 인기글 관리자 01-04 2741
47 격동기를 산 변호사의 삶, 그리고 불교이야기 인기글 최고관리자 12-22 2685
46 박정동교수의 홍차이야기 인기글 관리자 09-02 3118
45 덕산 김재일법사 3주기 추모및 부도탑제막식 인기글 관리자 06-15 3877
44 불교를 더욱 아름답게 알리겠습니다. 인기글 홍현표 04-02 2994
43 일본 불교 성지순례 여행 아시나요 인기글 최고관리자 03-16 4562
42 “위빠사나, 붓다 근본수행과 거리 멀다” 인기글 최고관리자 03-11 3669
열람중 야나기무네요시의 나무아미타불 인기글 최고관리자 03-09 3943
40 동산불교대 34회-대학원 25회 졸업식 인기글 관리자 03-09 3761
39 3월 5일(토) 오후4시, 명상의 뇌과학 공개강좌 인기글 윤은종 02-28 3359
38 사찰음식문화학과 정산스님 신문기사 인기글 관리자 02-09 4498
37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합시다 인기글 관리자 08-10 4170
36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만해마을서 열린다 인기글 최고관리자 07-12 3737
게시물 검색

동산반야회 소개 | 대학 소개 | 대학원 소개 | 의식교육원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동산반야회 불교대학
주소 : (03150)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1 (수송동46-20)
전화 : 02)732-1206~8 / 팩스 02)732-1207 / Email : dongsan@dongsanbud.net

COPYRIGHT DONGSANBUD.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