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음식은 지혜얻는 수행 과정 > 동산소식

본문 바로가기
동산반야회 동산불교대학


동산소식
동산소식 Home > 동산소식 > 동산소식

사찰음식은 지혜얻는 수행 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09-03-25 19:45 조회6,568회 댓글0건

본문

                      “사찰음식은 지혜얻는 수행 과정”

현장취재 - 동산불교대 사찰음식과 실습현장

정산스님 40년 현장 노하우 전수

마음 정성 담겨야 최고 사찰음식



▲ 실습에 앞서 정산스님<사진 위쪽>이 학생들과 함께 미리 준비한 사찰음식을 시식하고 있다.


   동산불교대학(이사장 안동일) 사찰음식문화학과 올 첫 강의가 3월 18일 인사동 사거리에 위치한 ‘산촌’에서

진행됐다. 이 학과는 40여 년간 사찰음식 연구에 정진한 정산스님이 사찰음식 전문가 양성을 위해 2007년 개설

했다. 지난해 동산불교대학 김재일 이사장 별세 등 내부 사정으로 학과개설이 안됐지만 올해 다시 문을 열었다.

  “사찰음식이 뭐라 했죠?” “수행정진의 방법이요”

  이십대 초반에서 오십대까지 다양한 연령으로 구성된 사찰음식문화학과 학생들은 학과장인 정산스님의 말 한

마디 한마디를 놓치지 않으려 수업에 집중했다. 이날 수업은 사찰음식을 대표하는 톳나물, 참취, 취나물, 방풍

나물 묻히기 실습이다.

  정산스님은 수업에 앞서 “서예를 배울 때도 처음 사군자로 시작해 사군자로 마치는 것과 같이 사찰음식도 나

물 묻히기로 시작해 다양한 음식을 접한 후 마지막에 다시 나물 묻히기로 끝난다”며 “사찰음식에 가장 기본이

되는 각종 나물을 잘 익히고 손에 익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산스님은 정도(正道)를 알아야 최고의 사찰음식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한다. “사찰음식은 몸을 보하는 음식

이 아닙니다. 사찰음식은 수행자들이 산, 들, 바다에서 얻은 청정한 음식을 생명유지 차원에서 섭취하는 것입니

다. 맛을 즐기기 위함이 아니라 지혜를 얻는 수행과정임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정산 스님 강의 또한 독특하다. 천편일률적 실습위주의 강의가 아니다. 스님은 학생들에게 그날 조리할 음식

재료를 직접 시식하게 한 후 관계 문헌을 통해 이론적 체계를 세워준다. 실습은 맨 마지막에 진행한다. 실습 또

한 레시피가 없다. 자신들의 입맛에 맞춘 음식 조리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미각이 틀립니다. 똑 같이 맞출 수 없죠. 사찰음식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입맛에 따라 정성스럽

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찰음식은 기교가 아닌 마음으로 만드는 음식입니다. 학생들이 불교음식에 대한

바른 자세를 가졌으면 합니다”

 
  평생을 사찰음식에 묻혀산 스님. 스님은 실습에 들어가는 학생들에게 당부의 말을 건넸다.

 
  “사찰음식은 이제 우리뿐만 아니라 세계인들도 매력을 느끼고 있는 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들에게 여러분은 사찰음식이 단순히 몸에 좋다고 말할 건가요? 사찰음식에 담긴 정신을 훼손하지 않고 바른 먹

거리로 발전시켜야 합니다. 여러분의 손에 사찰음식의 미래가 달려있음을 명심하세요”

   2007년 1기 졸업생 35명을 배출한 사찰음식문화학과 강의는 이날 수업을 시작으로 올 12월까지 매주 수요일

주1회씩 진행된다.

                       (02)732-1206~8                      출처 주간불교에서

            김치중 기자 bomin@jubul.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동산소식 Home > 동산소식 > 동산소식 목록
Total 207건 10 페이지
동산소식 Home > 동산소식 > 동산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 제8회 연합포교사고시 (12월6일시행)대비 특강 인기글 관리자 09-07 6308
26 동산법사단 창단10주년 기념법회 인기글 최고관리자 09-07 6458
25 매주 부처님 친설 읽고 들으며 지혜 증득 인기글 최고관리자 08-28 6316
24 제31회 동산불교대학 제22회 동산불교대학원 졸업식 인기글 관리자 08-20 6359
23 동산 “ 맛지마니까야3 함께 읽어요“ 인기글 관리자 08-04 7147
22 덕산 김재일법사 1주기 추모법회 봉행 인기글 관리자 06-12 6665
21 이 달의 법문 (붓다동산 4월호) 인기글 관리자 05-26 6851
20 5월의 강좌/중국불교사 (붓다동산 5월호) 인기글 관리자 05-26 7412
19 덕산 김재일법사 1주기 추모법회 인기글 관리자 05-12 6430
18 언시(言施)의 일생 동산반야회 안동일이사장 인기글 관리자 04-29 7071
17 동산 4월 초하루법회 봉행 인기글 관리자 04-05 6130
16 동산반야회 연수원 개원 인기글 관리자 04-05 6070
15 70명 연합 포교사 새롭게 탄생 인기글 관리자 03-26 6470
열람중 사찰음식은 지혜얻는 수행 과정 인기글 관리자 03-25 6569
13 역대포교원장 한자리에 뭉쳤다 인기글 관리자 03-17 6514
12 동산불교대 ‘나무아미타불’ 사불 수행 인기글 최고관리자 03-03 7303
11 동산불교대 제 30회 대학원 제21회 졸업식 인기글 관리자 02-21 6776
10 월간 불교문화·법보신문 설문 결과 인기글 관리자 01-14 6582
9 동산불교대학 연합포교사고시 수석합격 인기글 최고관리자 01-14 6914
8 안동일이사장 취임 기자간담회 인기글 관리자 10-30 7353
게시물 검색

동산반야회 소개 | 대학 소개 | 대학원 소개 | 의식교육원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동산반야회 불교대학
주소 : (03150)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1 (수송동46-20)
전화 : 02)732-1206~8 / 팩스 02)732-1207 / Email : dongsan@dongsanbud.net

COPYRIGHT DONGSANBUD.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