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전국염불만일회 제20차년도 표충사염불정진대회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동산반야회 동산불교대학


동산소식
공지사항 Home > 동산소식 > 공지사항

제6차전국염불만일회 제20차년도 표충사염불정진대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6-10 18:21 조회4,165회 댓글0건

본문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합시다

제20차(2017)년도

 

밀양 재악산 표충사 염불정진대회

 

불기 2561(2017년 7월28일(금) ~ 30일(일) 2박3일

 

 

행사 의전집 이북 보기(클릭)

 

 
“국난극복 호국성지서 새로운 원력을”전국염불만일회, 제6차 염불정진 20년차 정진
 
 

호국성지서 국난극복 염불결사

전국 염불행자 250여명 참석

“힘차게! 신나게!” 환희가 가득

 

“모든 이들 차별없고 나무아미타불, 정각세계 이뤄지고 나무아미타불, 국토장엄 선행하며 나무아미타불…”

뜨거운 여름, 아미타 48대원이 밀양 재악산 자락에 울려 퍼졌다. 아미타부처님 명호 한 번에 절을 하는 사람, 박수를 치는 사람, 합장 하는 사람까지 모습은 모두 다르다. 하루 만 번 부처님 명호를 부르는 염불 속에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를 외치며 앞에서 끌어 주고 뒤에서 밀어주는 여름보다 뜨거운 염불정진대회다.

전국염불만일회(회장 안동일)는 7월 28~30일 2박 3일간 밀양 표충사에서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20년차 염불정진대회’를 개최했다.

전국염불만일회는 1998년 8월 6일 고성 건봉사에서 1100여명의 염불행자들이 동참한 가운데 염불만일회를 결성한 바 있다.

 
 

20년을 맞아 열린 이번 염불정진대회는 특별히 호국성지 밀양 표충사에서 열렸다. IMF시기 국난극복을 위해 결성된 전국염불만일회 의미를 새롭게 하자는 취지였다.

입재식에서 동산반야회 법주 법산 스님은 “조선시대 국난으로 어려움을 겪던 당시 사명대사가 일본 적장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이 곳에서 새롭게 인연을 쌓아가자”고 말했다.

이상우 전국염불만일회 염불정진대회 대회장은 “사명 대사의 얼이 담긴 호국성지서 내 마음의 모든 것을 털어 버리고 나무아미타불 부처님 명호로 가득 채워 가벼운 마음으로 귀향하자”고 격려했다.

안동일 전국염불만일회 회장은 “불교는 일찍이 옛날부터 민중의 귀의처 역할을 담당해왔다. 호국불교의 기치를 더 높이고 갈등과 분열 속에 방황 중인 한국에 화합을 실천하기 위해 앞장서자”고 말했다.

이어 안 회장은 염불결사의 목적으로 △한국불교 정토화 △호국불교역할 담당 △ 신원행(信願行), 믿음, 발원, 행으로 일심불란의 신심염불 △경전 공부 통한 균형 잡힌 신행 등을 들며, 새로운 염불결사에 불자 대중이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표충사 주지 법기 스님도 환영사를 통해 “염불결사를 통해 호국의 의미를 찾고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하는 시간이 되시길 바란다”고 환영했다.

염불정진대회는 28일 입재식을 시작으로 철야로 이어졌다. 동산범패반의 신중작법, 법산 스님의 법문, 나무아미타불 1만송 염불 정진이 진행됐으며, 29일 새벽예불과 함께 표충사 경내서 행선염불과 선무도 체조도 진행됐다.

이어 신명나는 공연도 이어졌다. 동산불교대학 능인풍물반의 천수북 소리에 맞춰 불자들은 함께 몸을 흔들고 박수를 치며 신명난 정진으로 나아갔다.

한 여름 주말 표충사 계곡을 찾은 관광객들도 염불정진이 이뤄진 표충사 우화루 옆에서 발길을 멈추고 천수북 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재악산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시원한 바람은 뜨거운 열기를 식혔고 바람에 땀을 씻은 250여명의 불자들은 합장한 채 눈을 감고 산골 깊은 곳에 아미타 부처님의 명호로 메아리 쳐 울렸다.

한국춤과 다도포퍼먼스, 영남 농악, 선무도 등 다채로운 축하공연이 이어졌으며 30일 마지막 날에는 아미타 독경과 안동일 회장의 염불법문 및 회향식이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도반들과 함께 정진해 얻는 힘이 크다는 소감을 전했다.

김동훈 동산불교대학 33기 회장은 “목탁 소리만 들어도 평소 신이 나고 신바람이 나는데 포교사 활동을 하면서 한번은 집에서 혼자 염불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며 “염불정진대회는 염불 체험을 하고 환희심을 얻고 배우는 기회가 된다. 함께 하는 힘은 정말 크다”고 말했다.

김혜진 불자(동산불교대학 45기)는 “많은 감동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일 년에 한번 만나기 어려웠던 염불행자 도반들을 만나니 도움 받을 수 있는 이야기도 많고 하루 하루 기도의 연속이라 환희심 그 자체다”고 소감을 전했다.

 

 

20년차를 축하하며 정진을 이어 갈 것을 당부하며 서로 축하하는 선물증정식도 이어졌다. 김성우 도서출판 비움과 소통 대표는 책 <반주삼매경 심요>를 보시 했으며 한국불교 태고종 혜견 스님은 부채에 직접 반야심경을 적어 대중들에게 선물했다.

김성우 대표는 “염불결사의 정신이 그대로 이어지고 발전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책을 선물했다”며 “처음 염불결사를 시작할 때 공동 대표였던 김재일 법사님은 지금도 많은 분들이 존경하는 인물이며 그 분과의 인연이 떠올라 오늘 이 자리가 더욱 귀하게 생각되어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혜견 스님은 “현장 법사님이 적으신 여러 반야심경 가운데 특별히 해인사의 장경각에 적힌 것을 인용했다”며 “염불과 함께 경전을 바탕으로 더욱 수행 정진하고 무더운 여름 번뇌를 식히듯 청량한 바람이 수행이 도움이 되길 바라는 심정”이라고 했다.

한편,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20차년도 염불정진대회’에는 동산법주 법산 스님, 표충사 주지 법기 스님, 표충사 성천 스님, 진홍 스님이 참여했다. 아울러 이상우 전국염불만일회 대회장, 안동일 전국염불만일회 회장, 박문태 동산불교대학 총동문회회장, 이종현 동산 이사장 등 사부대중 250여명이 참여했다.

염불만일회는 통일신라 758년(경덕왕 17년) 발징 화상이 고성 건봉사에서 염불만일결사를 맺은 것이 효시다. 이후 제2차는 1802년(순조 2년)에 결성해 1850에 회향, 제3차는 1851년(철종 2년)에 벽오유총 스님이 결성해 1863년에 회향, 제4차는 1881년 만화관준 스님이 결성 1908년에 회향, 제5차는 1908년 금암의훈 스님이 열어 정진 회향했다.

일제시대 까지 이어졌던 염불만일회는 잠시 중단 됐지만 동산불교대학 이사장 故김재일 법사와 건봉사 주지 해장 스님, 현재 동국대 총장인 보광 스님이 공동대표로 6차로 결성해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하성미 기자  jayanti@hyunbul.com   2017.08.01 19:05                           현대불교신문에서 발췌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표충사와 사명대사
 
표충사와 사명대사
 
표충사와 사명대사
 
표충사와 사명대사
염불만일결사운동은 역사적으로 신라 경덕왕 17년(서기 758년)에 발징화상이 염불만일회를 개설한 것을 효시로 이후 지금까지 1908년 건봉사 염불만일정진에 이르기까지 5차에 걸쳐 진행되어 왔다. 이번 20차(2017)년도 전국염불만일회는 역사적으로 여섯 번째로 결성된 제6차 염불결사운동의 일환으로 진행하고 있다. 1998년에 결성되어 2025년도에 회향하기로 약속하고 결성된 염불운동이 올해로 20년째를 맞는다.
 
2017. 7. 28(금) ~ 7. 30(일) 까지 2박 3일 동안 개최되는 이번 재약산 표충사 염불정진대회는 250여명의 전국 각지의 염불행자들이 참여한다.
 
그동안 전국염불만일회는 전국의 사찰 중 염불성지를 중심으로 염불운동를 진행해왔다. “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합시다.”를 슬로건으로 1998년부터 염불성지를 찾아 금강산 건봉사에서 첫 회가 실시되었으며, 천봉산 대원사, 설악산 백담사, 달마산 미황사, 팔공산 은해사, 한라산 법화사, 덕숭산 수덕사, 토함산 불국사, 백담사 만해마을, 여엽산 연화사, 오대산 월정사, 치악산 구룡사와 자연학습원, 금오산 향천사, 19차년도 양산 통도사 등에서 개최되었다.
 
염불은 아미타경에 제시된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에 그 근거를 둔다. 아미타불을 지성으로 부르면 극락왕생한다는 가르침이다. 염불수행은 아주 단순하지만, 우리가 쉽게 측량하기 어려운 오묘함이 있다. 나무아미타불을 부르는 염불수행은 불교 초심자부터 시작해서 성불에 이르기까지 불자에게는 중요하고 필수적인 수행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극한 신심만으로도 성불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과 희망의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염불결사는 약 8세기경부터 오늘날 까지 계승되어 오며, 전국의 각 사원에서 행하여진 전국적인 불교운동이다. 염불운동은 종교적 민중운동으로 시대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신앙적으로는 불교인들의 자각과 반성운동이며, 경제적으로는 염불회가 사원의 든든한 후원체로서, 사회적으로는 국난의 극복과 민중의 귀의처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염불만일결사 운동은 우리나라에서만 전통적으로 실천되어 왔고, 현재에도 살아있는 실천적인 정토신앙이며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만 번 나무아미타불 염불정진!
참선을 통한 깨달음을 얻어 자성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염불정진으로 흔들림 없는 굳건한 믿음을 가진 불성을 터득한다면 궁극의 길은 동일하다고 믿어진다.
염불은 우리 깨닫지 못한 중생 누구나의 희로애락을 품어 안은 순수한 마음을 기쁨과 즐거움과 환희 심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게 힘차고, 신나고, 멋있게 우리 고유악기인 북소리에 맞추어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고 또 불러 내 자신이 아미타불에 동화되어 나를 잊고 아미타불만 남을 때 현세가 극락정토요 우주세계가 불국토가 될 것이다.
 
염불만일결사는 불교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남녀노소, 신앙의 경력, 지식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는 차별 없는 불교인들의 만남의 장이며, 깨달음과 화합의 한마당이다.
금번 사명대사의 호국성지 재약산 표충사에서 진행되는 20차년도 염불정진대회에 전국 염불행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에서는 1만일 염불(27년 5개월 ) 정진기간 중 100일 단위로 동산불교회관 3층 법당에서 이시대 염불정신의 핵심인 무량광ㆍ무량수 나무아미타불 정진을 이어오고 있으며 오는 6월24일(토) 저녁 9시 ~ 25일(일) 새벽 5시 6900일 철야정진을 진행한다.>
염불만일 6900일째 철야염불정진기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Home > 동산소식 > 공지사항 목록
Total 210건 4 페이지
공지사항 Home > 동산소식 > 공지사항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0 동산 한글불교의식, 전통범패의식신입생모집 인기글 관리자 01-14 708
149 붓다의 가르침 ㅡ 최봉수교수2018. 1. 9 인기글 관리자 11-14 1007
148 제16회 한불련 포교사고시 실시안내 인기글 관리자 09-17 700
147 동산창립 35주년 신행수기 모집 인기글 관리자 07-15 635
열람중 제6차전국염불만일회 제20차년도 표충사염불정진대회 인기글 관리자 06-10 4166
145 봄사찰순례 조계산 순천 선암사 인기글 관리자 05-10 965
144 동산총동문회 5월 염불정진,동산법사단 인기글 관리자 05-10 781
143 동산창립35주년 신행수기모집 인기글 관리자 05-09 688
142 2017 상반기 명사초청법회 불교대학입학식 인기글 관리자 03-18 897
141 2017 동산불교대학 .대학원 신입생모집 인기글 관리자 09-14 1760
140 동산창립제34주년 기념 및 동산인의 밤 인기글 관리자 09-14 1357
139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 합시다 인기글 관리자 06-07 2013
138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 3주기 추모다례재 인기글 관리자 06-01 1734
137 동산불교대총동문회 8대 출범 인기글 관리자 05-01 1238
136 불기 2560년 부처님 오신날기념 연등축제 인기글 관리자 03-15 1374
135 상반기 동산불교대학신입생모집 인기글 관리자 12-25 3064
134 “2500동문 결집에 사활 걸겠다” 인기글 관리자 12-04 2535
133 “아미타부처님 염송이 순간순간 이어져 만일행복 완성” 인기글 관리자 10-20 2956
132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17차년도 염불정진대회 인기글 관리자 06-23 2024
131 고 덕산 김재일법사 제6주기추모다례제 인기글 최고관리자 06-03 1781
게시물 검색

동산반야회 소개 | 대학 소개 | 대학원 소개 | 의식교육원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동산반야회 불교대학
주소 : (03150)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1 (수송동46-20)
전화 : 02)732-1206~8 / 팩스 02)732-1207 / Email : dongsan@dongsanbud.net

COPYRIGHT DONGSANBUD.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