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붓다동산747호
P. 29

여러 선지식과 아짠문의 지도를 받았으며 1992 ■ 미얀마
년 입멸하였다. 그는 자연스러운 수행을 강조하
며 1일 1식을 공양하게 했다. 망상이 있으면‘붓 타웅푸르 사야도 명상 센터는 부정관을 중심으
도’,‘담모’,‘상고’나 혹은‘붓도’를 염송하면 로 몸의 32부분을 염송하면서 관찰한다. 몸에 대
서 관찰하게 한다.                        한 마음 챙김을 맛보지 못한 수행자는 죽음을 초
일단 심신이 고요해지면 호흡, 몸, 마음의 흐 월하지 못한다고 강조하면서 몸의 개32 부분을
름을 관찰하게 한다. 매일 매일 수행 점검은 하 6그룹으로 나누어 염송하면서 일165 코스를 수
지 않고 법문을 통하여 수행을 지시하고 질문이 련한다.
있으면 언제든지 상담에 응한다. 특별한 테크닉 여래10호 1천번 암송 :《쌍윳따니까야》와《청정
은 강조하지 않고“모든 수행은 단지 마음의 균 도론》에는 붓다의 공덕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
형과 무집착 그리고 비이기성을 계발하는 것이 여 여래십호를 떠올리면서 염송하는 불수념 수
다.”라는 것을 강조한다. 보통 때 ∼ 명20 30 정 행법이 기술되어 있다.
도가 수행하며 우안거 중에는 여100 명 정도의 마하시 선사는 여래 10호를 계속 반복하면서
승려가 수행한다.                         여래와 그 공덕을 찬탄하면 이때 가슴에서 희열
                                  이나 법열이 일어나는데 이 기쁨을 관찰해서 깨
왓 팍남(Wat Pak Nam)                 닫는 다고 했다.
이곳에는 여200 명의 승려가 거주하고 외국인
도 여10 명 살면서 팔리어를 공부하기도 한다.
이곳의 수행법은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결합된 ■ 중국
것이다. 프라 몽콜 무니 ∼(1884 1959) 원장에 의
해 창안된 것으로 ‘삼마 아라한(Samma 염불선(허운스님) : 참선의 핵심은 현상 이전
’이라는Arahan) 만트라를 마음속으로 염하면서 의 본질을 발견하는 것이므로 현상을‘나’로 착
①수정을 사용한 광명편 을(Aloka-kasina) 집중 각(無明)하기 때문에 탐 . 진 . 치가 일어나게 된
대상으로 사용한다. ②그 다음은 북부 중심에 마 다. 이 때 현상 이전의 마음 자리(心卽是佛)를
음을 집중시키고 ③다음에는 18단계의 법신관이 ‘본다(見)’, 혹은‘관(觀)한다’,‘참구한다(參
다. 이 수행법이 사념처와 결합되어 수행이 향상 究)’,‘비추어 본다(照)’.‘화두를 보라(看話頭)’
됨에 따라 법신으로 형상화된다는 독특한 수행 등으로 말한다. 이것을 효과적으로 생각을 한 곳
법이다. 광명편이 몸 중심에서 둥근 빛이 폭발하 에 모아 바로 생각 이전으로 들어가기 위해 염불
듯이 생겨나면 비로소 담마카야 본 수행에 들어 을 하면서“염불하는 것이 누구인가(念佛是誰)?”
선다. 이것이 1단계이고 1단계가 사라진 후 몸의 라고 한다.
중심에서 18단계의 신체가 순서대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아미타불’이라는 말은 화(話)요 염
18단계의 신체를 관찰하면서 아라한이 된다. 하기 전이 화두(話頭)로, 한 생각 일어나기 이전

                                             | 27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