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붓다동산744호
P. 41
천도의식『구병시식』대강좌
매주 토( ) 오후 4시 / 심만춘스님
전시식’은 불가의 4대 명절 및 특별히 기념할만한 의식에서 법회를 통해 조성된 공덕을 영가제위의
몫으로 돌려 천도하려는 시식이고,‘관음시식’은 관세음보살님의 위신력에 의지하여 주인공인 망자
와 영가제위의 천도를 도모하려는 시식으로서 사십구재를 위시한 천도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시식이다.‘화엄시식’은 안거기간동안 매일아침 거행하는 하단시식으로서 산림(山林)에서의 공덕을
영가제위에게 회향하여 천도하려는 시식이다. 이에 비해‘구병시식’은 책주귀신의 침책(侵責)으로
인한 고통 즉, 귀병(鬼病)을 치유하려는 시식이다. 따라서 인과의 도리로써 환자와 책주귀신을 함께
깨우쳐 원결을 풀 수 있도록 관세음보살님의 위신력에 의지하여 거행하는 지혜와 자비가 총동원된
천도의식이다.
제3조 승찬(僧璨) 선사께서『신심명(信心銘)』에서 하신‘털끝만큼이라도 차이가 있으면 하늘과 땅
사이로 벌어진다(毫釐有差 天地懸隔)’라는 말씀처럼 성불과 윤회의 길이 한 생각에 달려있다는 사실
도 새삼 실감하였다. 아무쪼록 많은 분들의 공감으로 당사자는 고통을 덜고, 삼계만령은 길을 찾아
무시겁래(無始劫來)의 윤회를 멈추고 모두 함께 열반의 주인공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2016년도 하반기 동산의식교육원 [2년]
1. 교과목 및 지도법사
전통범패의식(실습편) 매주 수( ) 오후 3시 / 인각스님
범패의식반 쪾전통재의식 (시련, 대령, 관욕, 신중작법, 지장불공, 신중불공, 관음시식, 전송)
쪾상주권공 (각청 -삼보통청, 지장청, 관음청, 미타청- 예경, 축원 사물 다루는 법)
쪾작법무 (바라무-관욕식, 화의재, 요잡, 천수바라, 사다라니바라)
(작법무-나비춤, 도량게, 다게, 향화게, 사방요신)
구병시식 작법 매주 토( ) 오후 4시 / 심만춘스님
쪾일용의식편 도량석쪾조례종성쪾향수해례쪾행선축원쪾사성례쪾중단예경쪾사시마지쪾
한글의식반 오분향례쪾석례종성
쪾상주권공편 천수경쪾삼보통청쪾관음청쪾지장청쪾신중권공쪾축원
쪾다비작법편 목욕편쪾입감편쪾기감편쪾다비편쪾봉송편
한국불교의식 매주 토( ) 오후 2시 / 문종순법사
쪾한글의식 기본실습 (목탁실기, 요령실기, 반야심경, 천수경, 법회의식)
쪾예불의식 실습 (새벽예불, 저녁예불)
쪾불공의식 실습 (삼보통청, 관음청, 지장청, 신중청)
쪾천도의식 실습 (시다림의식, 49재의식, 상용시식, 관음시식)
| 39